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Git 기본 bash 커맨드

자벌레 2020. 10. 21. 14:35

www.zerocho.com/category/Git/post/580f633046f4fe09815b72a5

 

(Git) Git 저장소 생성(init), 최초로 commit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진행중인 프로젝트에 git 저장소를 생성하고, 최초로 commit을 해보겠습니다. 깃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저는 주로 명령프롬프트(CMD)를 사용합니

www.zerocho.com

 

요약 - 

 

 - git init : .git 가 생성되면 git 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다는 말

 

 - git add : 파일들을 tracked 상태로 만들어줌 ( Tracked 상태란, git 에서 관리할 수 있는 파일로 등록하는 것을 의미)

        옵션 

              -m  git 커밋 시 설명도 추가한다는 의미

              -a   git add 도 함게 적용

 

 - git commit : 깃에 파일 내용 업로드(커밋) . git commit -m [설명]

 

 - git status : 현재 git 상태를 보여줌

 

 - git push : 커밋한 내용들을 push 한다. 

                협업을 해야 할때는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commit을 한 뒤에 pull을 받고 코드 수정이 완료되면 다시                        commit 을 하고 push 를 하는 식으로 진행한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TAG
more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