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git 커밋 시 build 등 커밋할 필요가 없는 부수 코드들을 제외하고 싶을 때는 gitignore를 사용한다.
- 항상 최상위 디렉토리에 존재해야 한다
- git에 같이 push 하면 적용된다.
- 내용은 1줄에 제외할 디렉토리나 파일형식을 적어주면 된다.
.gradle/
.idea/
build/
nesoy.github.io/articles/2017-01/Git-Ignore
Git .gitignore 적용하기
nesoy.github.io
+
캐시가 로컬에 남아있어 gitignore 가 인식되지 않고 계속 build 내용이 커밋 창에 보일때가 있음.
이 문제 해결법은 아래를 참고하였다
git rm -r --cached . //캐시 삭제. 프로젝트에서 파일들이 git 에서 삭제되었다고 인식됨.
git add . //파일들을 커밋 대상에 포함. 관리대상에 들어감 (프로젝트의 빨간글씨를 없애준다)
git commit -m "fixed untracked files"
.gitignore가 작동하지 않을때 대처법
.gitignore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서 ignore처리된 파일이 자꾸 changes에 나올때가 있습니다. git의 캐시가 문제가 되는거라 아래 명령어로 캐시 내용을 전부 삭제후 다시 add All해서 커밋하시면 됩니�
jojoldu.tistory.com
'형상관리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private 무료?, 튜토리얼 링크 (0) | 2020.01.13 |
---|
댓글